[AI역량검사] 점수 산정 기준 및 대리시험의심 해석 방법
1. 점수 산정 기준
AI역량검사는 지원자의 역량 수준을 규준집단에 비교하여 검사하는 결과 값으로 상대평가에 해당합니다.
* 위 사진에서 보여지는 T점수와 백분위 점수 모두 규준집단을 기준으로 지원자가 전체 응시자 중에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를 수치화하여 보여드리는 부분입니다.
Q. 절대 평가로 산정해서 커트라인을 잡을수는 없나요?
절대평가 점수로 커트라인을 잡는 것은 권장드리지 않는 명확한 이유가 있습니다.
채용시기에 따라, 지원자 속성에 따라 전체 inAIR 응시자의 결과가 낮은 그룹에 몰려있을 수도 있고, 고성과 그룹에 몰려 있을 수 있습니다.
채용이란 속성이 명확하게 합격자, 불합격자를 걸러내야 하는 속성이다 보니 특정 점수대로 제공하는 경우, 너무 많은 지원자를 탈락시켜야 하거나 합격시켜야 하는 요인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재직자 커스터마이징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특정 점수를 잡기보다는, 전체 응시 결과가 나온 뒤 순위를 보시고 커트라인을 잡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신뢰 가능성은 '응답신뢰가능' 지원자이지만, '대리시험의심'으로 기재된 지원자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안면 등록 과정에서(사진 촬영) 예상치 못하게 움직임이 많았거나, 질문에 대하여 답을 할 때 분석이나 대리시험의 감지가 아주 미세하게 판단되어, 실제 영상 확인을 권장 드린다는 의미입니다.
-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면 결과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아닙니다.
- 안면등록 과정에서(사진 촬영) 예상치 못하게 움직임이 많았거나, 질문에 대하여 답을 할 때 분석이나 대리시험의 감지가 아주 미세하게 판단되어, 실제 영상 확인을 권장드린다는 의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큰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