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뉴얼] 면접전형 평가
면접전형 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문서는 크게 3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면접전형 명단 화면
- 지원자 상세보기
면접전형 명단 화면
먼저 면접전형은 시간/장소별로 명단이 구분됩니다.
원하는 면접일정을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지원자 명단이 나타납니다.
면접전형 평가명단은 서류전형, 시험전형과 다르게 지원자 정보를 카드뷰 형태로 보여줍니다.
지원자 카드 밑에 평가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면, 본인이 '최종평가자'로 등록된 경우입니다.
평가 기능이 없으면 일반평가자 권한이고, 둘의 차이점은 합격/불합격 권한 여부입니다.
면접명단의 3가지 기능을 소개드리겠습니다.
① 전체/일자 별로 지원자 명단을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위에 보시는 사진은 일자별이고, 전체로 변경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전체' 보기를 통해 지원자의 면접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검색필터는 지원자의 순서를 정렬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 보통은 수험번호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합니다. 왜냐하면 전형 생성시 면접번호 신규생성 기능을 통해 관리자가 수험번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③ 면접평가표는 평가자가 다음과 같이 직접 출력할 수 있습니다. 본인 이름 옆에 서명을 받아서 면접관 증빙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지원자 상세보기
아래 사진처럼 모든 면접관에게 최종평가 권한이 있다면 얼굴 보고 합격/불합격만 정해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량평가가 기본으로 자리잡인 최근 채용에서는 보기 드문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일반 평가자들은 과연 어떻게 지원자를 평가할 수 있을까요?
(1) 역량별 평가하기(구조화 질문 리스트 활용)
바로 지원자 카드를 클릭해서 상세보기를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서류평가나 시험평가도 동일한 화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겹치는 내용을 반복해서 설명드리지는 않겠습니다.
① 평가진행현황 탭에서 역량별로 평가점수를 입력합니다. 종합평가 점수는 자동으로 환산되지만, 평가자가 자율적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B를 줄지 B+줄지 애매한 상황에 평가자의 재량으로 점수 기록이 가능합니다.)
② ? 아이콘을 클릭하면 관리자가 미리 세팅해둔 역량별 구조화 질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질문 세트를 통해 지원자들을 만나면, 상대적인 답변 수준을 비교하기 용이합니다.
특정 지원자의 첫인상이 작용하는 편향에서 벗어나기에도 용이합니다.
(2) AI 역량검사 면접 질문 가이드 활용
AI 역량검사를 활용하는 회사의 경우 응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inSEED 구조화 면접 질문 활용
inSEED를 활용하는 경우 inSEED 결과를 바탕으로 제공하는 구조화 면접 질문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