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채용전형등록 - 평가기준 설정
각 전형등록 마지막 스텝(서류전형 STPE3, 면접전형 STEP4)에 위치한
평가기준 설정은 채용 전형의 마지막 기능 설정이자 가장 중요한 설정입니다.
지원자의 합격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본 문서는 다음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종합평가 점수만 입력
특별한 평가 항목 없이 지원자 자체의 종합 점수만 입력해서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① 평가점수 입력방식 : 종합평가 점수만 입력 선택
② 합격자 결정기준 선택하기 : 최종평가자의 합격 기준을 설정합니다.
합격을 준 최종평가자 수가 최소 1명, 만장일치, 특정 비율 이상의 기준으로 자동 합격기준을 설정합니다.
③ 최종평가척도 설정 : [가이드] 최종평가척도 설정에서 생성한 것 중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 임원들이 평가를 진행한다면, Pass/Fail/None 등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④ 평가항목 설정
종합평가의 경우 만점으로 표현할 평가척도를 설정합니다.
2. 역량별 평가 후 종합평가 점수 입력
지원자를 여러가지 기준으로 다양한 척도에서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설정한 평가척도를 기반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위 종합평가와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① 역량별 평가기준 설정 : 내부 평가기준이 없다면 되도록 1Depth 구조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Depth 구조>
<2Depth 구조>
② 역량별 평가코멘트 : 평가 후 입력하는 코멘트는 같은 점수대의 지원자 중 합격자를 판별하는 정성적 평가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다만 평가자들의 피로도를 고려해서 종합평가 코멘트만 작성을 추천합니다.
3. 구조화질문 설정
면접전형의 경우 미리 역량별로 예상 면접 질문을 세팅할 수 있습니다.
해당 템플릿을 모든 면접관들이 활용한다면, 같은 질문을 기준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평가결과를 정량화하기 용이합니다. 또한 채용 평가기준이 표준화되어 측정하기 더욱 용이하고, 결과 신뢰도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면접관들이 면접 준비로 소모하는 불필요한 리소스도 줄일 수 있습니다.
1) 평가척도를 먼저 설정합니다.
2) 구조화 질문을 설정합니다.
*예시화면처럼 다양한 유형의 질문과 구조화 질문 모두 설정 가능합니다.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