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척도] 역량별 평가척도 예시
대부분의 회사들이 역량별 평가 방식을 활용합니다. 평가척도는 기업별로 다양하게 구성하지만, 본 문서는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역량별 척도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CASE 1 숫자 척도(만점 기준은 회사마다 상이함)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므로 자주 사용합니다.
만점이 10점이면 10개, 100점이면 100개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설명'이라고 쓰인 내용은 모두 선택 입력 사항입니다.
CASE 2 알파벳 척도
회사에서는 SABCD 척도를 주로 활용하지만, 평가 배점을 입력하는 방식이 기업들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평가배점이 균등한 대학교 A+ - F 척도를 예시로 소개합니다.
CASE 3 Pass/Fail 척도
결격 사유가 있으면 Fail를 주는 방법입니다.
평가 배점이 작아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평가 합격과 불합격을 결정하는 것은 역량별 평가 배점의 가중치이기 때문입니다.
[가이드] 평가배점 적용 기준를 활용해서 각 역량별 척도가 반영되는 비중을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본 문서를 이해하셨다면 [평가척도] 종합평가척도 예시를 통해 종합평가척도 구성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