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척도] 종합평가척도 예시
본 내용을 확인하기 전에 [평가척도] 역량별 평가척도 예시를 먼저 확인바랍니다.
종합 평가 척도는 역량별 평가척도의 합산 결과를 나타내는 척도인 역량종합점수가 먼저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역량별 평가 선택시 자동 입력되는 결과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종합척도 3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ASE 1 숫자 합산형
앞서 역량별 평가척도에서 숫자로 역량을 표기하는 경우, 전체 합산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역량별 평가척도에서 10점 만점짜리 척도를 3개 사용하거나 5점만점 척도를 6개 역량으로 평가하는 경우 만점이 30점입니다. 종합평가 척도로 30점 그대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역량별 만점 기준과 평가 역량 개수에 따라 응용해서 구성하면 됩니다. (26점 이하는 생략)
CASE 2 역량별 척도와 동일한 척도
앞서 [평가척도] 역량별 평가척도 예시 CASE 2처럼 역량별 평가척도가 A+~F라면, 종합평가척도도 동일하게 A+~F까지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종합평가 점수는 각 평가항목 사이에 두고 반올림해서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4.5(A+) 1개와 4.0(A) 1개 합산된 종합결과는 각 평점의 중간값인 4.25인데, 반올림을 했기 때문에 A+로 반영됩니다.
평가배점의 자세한 적용 원리는 [가이드] 평가배점 적용 기준을 참고바랍니다.
CASE 3 공공기관용 척도
많은 공공기관이 역량별 평가방식은 숫자로 5점 만점, 10점 만점을 사용하는데, 종합결과를 합격/예비합격/불합격 척도를 활용하거나, 적격/보류/부적격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특성상 종합평가결과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지양하기 때문에, 평가항목별로 일정 비율을 맞춰서 종합점수 척도를 세트를 설정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동 입력되는 종합점수가 각 평가항목의 중간값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설정은 아래 예시를 보고 응용해서 활용 바랍니다.
※ 합격 기준 점수 : 합격과 예비합격 역량의 중간값인 2.25(75%) 이상이면 합격
※ 예비합격 기준 점수 : 예비합격과 불합격의 중간값인 0.75(25%) 이상이면 합격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