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EED 해석 기준
고성과 지수 기준
inSEED의 고성과지수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각 역량의 점수와 지원자의 응답패턴을 비교하여 성과 예측을 하는 것입니다.
성장 가능성과 조직 적합성의 중간 값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 점수 계산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 inSEED의 고성과지수는 각 역량의 점수와 지원자의 응답패턴을 비교하여 성과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즉, 해당 지원자가 응답한 결과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성과를 낼 예측 점수가 바로 고성과 지수 입니다.
inSEED 응답신뢰 기준
응답 신뢰 불가능이 나타나는 이유는 아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응답의 성실성 낮음 : 누락한 문항 없이 성실하게 응답한 정도
응답의 일관성 낮음 : 유사한 문항에 대해 일관성 있게 응답한 정도
응답의 정직성 낮음 :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왜곡응답을 하지 않고 솔직하게 응답한 정도
응답 신뢰 불가로 나온 경우에는 해당 사항을 고려하여 판단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inSEED 결과지 질문가이드가 나타나는 기준
inSEED 구조화 면접 질문은 B(47~53) 등급을 기준으로 합니다.
- 강점은 53점 이상인 역량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는 2개가 선택됩니다.
- 약점의 경우에는 47점 이하인 역량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는 2개가 선택됩니다.
만약, 53점 이상(또는 47점 이하)인 역량 점수가 없다면 구조화 면접 질문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질문이 1개 혹은 2개가 나오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 아래의 경우는 47점 이하인 항목이 없기 때문에 약점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입니다.

Q. 제 결과지에서는 수용성, 친화성, 존중성, 성실성이 모두 90점인데 이 경우에는 어느 기준으로 강점이 표시가 되나요? 4개 모두 표시가 되나요?
A. 결과지에서는 40점으로 표시가 되고 있지만, 실제 데이터 상으로는 소수점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는 수용성 90.1점, 친화성 90.3점, 존중성 90.2점, 성실성 90.5점으로 계산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높음 점수 2개인 성실성 90.5와 친화성 90.3이 표시되게 됩니다.
댓글
댓글 0개
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