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뉴얼] 채용공고등록 - STEP1 기본설정
메뉴위치 : [채용공고관리]-[채용공고등록]-[Step1 기본설정]
채용 공고를 신규 생성하는 Step1 기본 설정 가이드입니다.
본 문서는 다음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채용공고 정보 설정

①공고명 & ②리스트이미지 : 공고명을 입력하고, 아래 사진과 같이 채용사이트의 채용공고 리스트에 노출될 대표 이미지를 업로드 합니다.
③ 채용형태 : 공고에 맞는 채용형태를 선택합니다.
- 일반채용: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공고입니다.
- 상시(인재DB): 상시채용 공고는 기업당 1개씩만 운영할 수 있으며, [지원자관리] > [상시지원자 관리]를 통해 별도로 관리됩니다.
- 추천채용: 설정한 추천코드를 입력해야 지원서를 작성할 수 있는 공고입니다.
- 비공개채용: 비공개 공고를 생성하고 비밀번호를 지정하고, 해당 공고의 URL과 비밀번호를 부여받은 지원자만 지원서를 작성할 수 있는 공고입니다.
④ 채용구분: 다음 사진과 같이 채용사이트의 채용공고 리스트 말머리와 탭으로 구분되는 코드 입니다.
※ 채용코드 등록하기 >>
2. 채용분야 설정
① 채용분야 불러오기 : 채용분야 설정 시 타 공고로부터 설정하였던 지난 내역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② 코드 등록 : 채용분야 하위 코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합니다.
③ 채용분야 Step별로 채용분야를 선택하고, ④ 하위코드들을 선택하여 하나의 채용분야 코드를 생성합니다. Step은 최대 4 depth 구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⑤ 생성된 채용분야 코드의 [+] 아이콘을 클릭하면 채용분야로 등록됩니다. ④번 하위코드 선택과 ⑤번 [+] 아이콘 클릭으로 다른 채용분야를 순차적으로 추가해주실 수 있습니다.
※ 이 때 추가하는 순서가 지원서 작성 페이지, 지원자 관리, 평가자 사이트의 채용분야 드롭박스에 동일하게 반영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예를 들어, 위 사진과 같이 [신입-인사] 추가 후 [신입-기획]을 추가해주시면, 지원서 작성의 지원분야 선택 드롭박스에 [신입-인사] / [신입-기획] 순으로 보여집니다.
⑥ 복수지원 최대 허용 개수를 설정하여 추가한 채용분야의 복수지원(n지망)을 허용해줄 수 있습니다.
⑦ n지망 중 특정 개수를 필수로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수지원 최대 허용 개수 3개 중 2개는 필수 선택이면, 3개까지 지원분야를 선택할 수 있고 그 중 2개는 필수, 1개는 선택 사항이 됩니다.
3. 지원서 작성 설정
⑧ 중복지원 차단: 최근에 지원한 이력이 있는 경우 혹은 접수 중인 공고간 중복지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복수지원과 중복지원의 차이점은 다음 링크를 통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복수지원과 중복지원의 차이점 >>
⑨ 접수기간 & 제출마감: 지원서를 작성할 수 있는 접수기간을 설정합니다. 이 때 '제출마감' 시간은 접수 종료 시점에 집중되는 트래픽이나 지원자 개인 PC 환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딜레이나 시간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시간입니다.
예를 들어 사진과 같이 설정한 접수 종료 시간 3/13 23시 59분에 로그인하여 작성 중인 지원자는 제출마감 시간 3/14 00시 04분까지는 작성 중인 지원서를 최종제출할 수 있습니다.
⑩ 정보제공동의서 & 지원자 서약서: 공고마다 정보제공 동의서와 지원자 서약서를 공고에 맞는 문서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정보제공 동의서와 지원자 동의 서약서 신규 생성이나 수정은 [채용공고관리] > [정보제공동의서 관리]에서 관리합니다.
※ [영상] 정보제공동의서 >>
⑪ 본인인증: 지원서 작성 시 본인 확인을 위한 본인인증 수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인증의 경우 무료이지만, 아이핀이나 SMS 인증은 추가적으로 구매해주셔야 선택이 활성화 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구매를 원하실 경우 영업 담당자님 혹은 헬프데스크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⑫ 반드시 모든 사항을 설정한 뒤에는 [다음] 버튼을 통해 저장한 뒤 다음 Step으로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4.지난 설정 불러오기
[지난 설정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여 타 공고에서 설정한 내용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힘들여 작성했던 내용이 반복된다면 추후 공고 생성시 이 기능을 활용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Step별로 적용되기 때문에 Step1의 내용만 적용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꼭! [다음]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저장하고 넘어가세요!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